본문 바로가기

한지붕 세OS

어쩐지 Remote Desktop이 느리더라니.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'일반 : 종류'에 주목.


Remote Desktop도 그렇고, Windows Media Player도 묘하게 프로그램 돌아가는 속도가 느리다고 생각했었는데, PowerPC 기반이었구나 ... 하긴 인텔맥이 나오기 시작한지 이제 1년 지났을 정도니까. 예전 프로그램들이야 뭐 그냥 돌리는거지.

괜히 ms 이 색퀴들 일부러 맥에서 도는 프로그램은 느리게 돌게 만들어놓은거 아냐- 라고 투덜대던 자신이 조금 부끄러워진 순간.  'ㅅ`) ;;;   아 내가 일부러 그렇게 생각한 건 아니고- ...



* 혹시라도 이게 뭔 소린가 싶은 사람들을 위해서 :
2006년부터 나오기 시작한 맥과, 그 이전에 나온 맥은 서로 하드웨어가 다르다. 아니 이 하드웨어는 하드디스크가 삼성이나 씨게이트나 뭐 이정도의 차이를 말하는게 아니라... CPU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어부터 완전히 다르다는 이야기. 2006년 이전의 맥은 IBM에서 생산한 PowerPC 계열의 CPU를 사용하고, 그 이후의 맥은 x86 기반의 - 보통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PC와 동일한 - 인텔에서 생산한 CPU를 사용하고 있다.

그래서 프로그램조차도 PowerPC용 프로그램과 Intel x86의 프로그램이 따로 컴파일되는데... 애플에서는 하위 호환성을 위해서 예전 PowerPC용으로 제작된 프로그램을 최근의 맥에서 돌릴 수 있도록 로제타 기술을 사용해서 예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. (일종의 에뮬레이터라고 보면 비슷하다) 최근 제작되는 맥용 프로그램은 PowerPC와 Intel 기반 CPU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Universal Binary로 제작되고 있는데, 케냘은 이 기술 자체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어서 잘은 모르지만, 자바의 바이트코드와 비슷한 방식으로 실행된다고 한다. 참고로 내가 사용중인 맥북에는 노트북용 센트리노 기반의 Core Duo CPU(T2400, 1.83Ghz로 동작)가 사용되고 있다.